eunzae's develog
[인프라]IT 인프라 유형(On-Premise vs Public Cloud) 본문
IT 인프라란 무엇인가?
IT Infrastructure란, IT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Information Technology(IT) 구성 요소들의 집합으로 IT 구성 요소에넌 서버, 스위치,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 장비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OS)같은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도 포함
IT 인프라 구성 요소
- 하드웨어: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데이터센터 및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해 필요한 냉각시설 뿐만 아니라, 서버, 스위치 라우터 등이 하드웨어에 포함
- 소프트웨어: Windows 및 Linux 같은 운영체제(OS)를 포함하여, 그 위에 올라가는 아파치같은 웹 서비스, 미들웨어 등이 포함
- 네트워크: 물리 단인 케이블, 스위치, 라우터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네트워킹 및 보안 방화벽, 인터넷과의 통신 등을 포함
다양한 IT 인프라 유형(On-Premise vs Public Cloud)
기존의 전통적인 환경에서는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하여 그 안에 인프라를 구축하였다면, 이제는 CSP사에 인프라 환경을 일임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
- On-Premise
- 기업이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그 안에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구축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방식(데이터센터 Rack을 빌리기도 함)
-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 나오기 전짜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었으며, 기업이 직접 구축한 Private Cloud도 On-Premise 환경에 속함
- 데이터센터의 관리(항온항습기, 전력시스템 등) 부터 물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까지 관리 coverage가 넓음
- Public Cloud
- 인프라는 Cloud Service Provider(CSP)에서 구축하고 운영 및 관리
- 어느 기업이든 클라우드 이용을 원한다면 CSP에서 제공하는 콘솔을 통해 필요한 리소스를 바로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음
- 데이터센터를 직접 운영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운영하는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음
- 때에 따라선 고객의 전산실에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할 수도 있음
Cloud Computing(Private Cloud vs Public Cloud)
클라우드는 크게 Private Cloud와 Public Cloud로 나눌 수 있음. 이는 클라우드 인프라가 존재하는 위치와 운영방식, 그리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나뉨
구분 Private Cloud Public Cloud
구분 | Private Cloud | Public Cloud |
서비스 대상 | 한정된 그룹 | 불특정 다수 |
인프라 위치 | 자체 데이터센터 | CSP 데이터 센터 |
인프라 운영 | 사내 엔지니어 | CSP 엔지니어 |
장점 | 기업이 원하는 대로 구축 및 운영 가능 | 초기 구축 비용이 저렴(사용한 만큼 지불) 인프라 환경 운영에 대한 부담이 없음 트래픽에 대한 빠른 대응 다양한 Paas, Saas 상품들을 이용한 빠른 개발 |
- Hybrid Cloud: Public Cloud + Private Cloud
- Multi Colud: Public Cloud(A사) + Public Cloud(B사)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VsSC3cW7L2s
'Other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Project 주요 Lifecycle (0) | 2022.07.22 |
---|---|
맥 단축키 정리 (0) | 2022.05.07 |
키보드 관련 사이트 정리 (0) | 2022.05.07 |
국립암센터 CRDW 데이터품질인증 최고등급 획득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