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zae's develog
올바른 공문서 작성과 보고서 작성법 본문
공문서 작성법
공문서
- 공문서 : 공공언어로 작성(국어기본법 행정효율과협업촉진에관한기준)
- 사실에 근거해 친절하게 쉽게 작성
- 한 번에 읽고 이해할 수 있게(초5~중2가 봤을때 이해할 수 있을 정도)
공문서의 유형
- 공고문 : 특정한 사안이나 정책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문서
- 공고하고자 하는 사안을 명료하게 설명
- 시행 주체와 시행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함
- 간결하고 정확한 표현을 사용
- 우리기관 날짜표기 기본 규칙
- 기안문 : 사업이나 활동 계획의 초안을 설명하는 문서
- 보도자료 : 국민에게 널리 알려야 할특정한 정책이나 사업의 내용을 언론매체에서 쉽게 보도할 수 있도록 정리한 문서와 시청각 매체를 의미(현재 국립국어원에서 보도자료에 관한 사항 정비중)
- '정보 공개형', '정책 및 행사 홍보형', '입장 표명형' 등이 있음
우리의 보도 자료 분석
- 전화번호 작성 시 전화기 특수문자 쓸 필요 없음, 지역번호와 전화번호 모두 표기
- 제목은 일반 국민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작성
- 대한민국 성인 남녀가 가장 두려워 하는 암은?(O)
- 대한민국 성인 남녀가 가장 두려워 하는 폐암과 위암(X))
- 리드문 한 줄 또는 두 줄로 60자 이내
- 구어체 사용 하지 않기
- 됐다, 했다 (X)
- 되었다, 하였다 (O)
- 그림, 그래프, 표, 통계 자료 활용 : 근거가 있는 자료 정확히 사용 - 신뢰도가 높아짐
공문서 작성의 요건
정확성
- 표기의 정확성
-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을 지켰나?
- 띄어쓰기를 잘하였는가?
- 외래어 및 로마자 표기법을 지켰나? (국립국어원-용래찾기-외래어표기법)
- 표현의 정확성
- 어휘를 의미에 맞게 선택하였는가? (국립국어원-사전-우리말샘/표준국어대사전)
- 문법을 어법에 맞게 사용하였는가?
- 문장을 우리말답게 표현하였는가?
소통성(가중치 기준)
- 공공성(생산자 중심)
- 공공언어로서의 품격을 갖추었는가?
- 고압적 원위적 표현은 삼갔는가? (명사형, 개조식 지양)
- 차별적 표현은 삼갔는가?
- 정보성(텍스트 중심)
- 정보의 형식이 적절한가?
- 정보의 양이 적절한가?
- 정보의 구성이 적절한가?
- 용이성(수용자 중심)
- 문장을 적절한 길이로 작성하였는가?
- 하나의 핵심 문장으로 2~3줄
* 영희는 줄넘기를 하고 철수는 달리기를 한다.(X)
* 영희는 줄넘기를 한다. 철수는 달리기를 한다.(O)
* 유병인구(X)
* 환자 수(O)
* 국민으로 하여금(X)
* 국민에게(O)
- 하나의 핵심 문장으로 2~3줄
- 쉽고 친숙한 용어와 어조를 사용하였는가?
- 시각적 편의를 고려하여 작성하였는가?
- 문장을 적절한 길이로 작성하였는가?
보고서
계획보고서 결과보고서 형식
보고서는 설득하는 문서
기획의 단계
문제 인지 -문제의식으로 현상 파악 -구조화/범주화 문제가 어디에 있는가?인과관계는 어떠한가?
생각의 체계화 -자료 수집 -아이디어의 체계화와 구성 해결책은? 어떻게 설명 가능한가? 실현 가능한가?
보고서 작성 -전체적 구상 -초안 작성, 수정 무엇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고 -구두 보고/서면 보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참고
문장부호
- 작은따옴표(')
- 약칭 표기 방식 : 국립암센터(이하, '암센터'라 함.
- 큰따옴표(")
- 대화를 표시할 떄
- 남의 말을 직접 인용할 떄
- 판례나 법령을 그대로 인용할 때
- 겹낫표, 겹화살괄호, 큰따옴표
- 책 제목, 신문 이름
- 홑낫표, 홑화살괄호, 작은따옴표
- 소제목, 예술 작품(그림, 노래 등)의 제목, 상호 등
- 법률, 규정은 홑낫표만
사용직명
- 줄여서 쓰지 않는다
- 공식 명칭으로 표기한다.
- 기관의 장(한자)은 장을 넣어 성립하면 붙여 쓴다.
- 장관명은 붙여쓴다 (문장 안에서 쓰일 경우 관직명은 띄어쓴다.)
띄어쓰기
- 안 하기로
- 병원 측
- 시행 중
- 우천 시 (비상시, 유사시, 평상시, 필요시는 붙여씀.)
- 입주민 간
- 65세 이상
- 실시 후
- 약 40개소
- 총 720명
- 만 17세
- 이번에, 이후, 그동안, 그중, 지난해, 더욱더, 한번(횟수 제외) 은 붙여씀
- 장소:v내용
- 시간:v내용
다듬어 써야 하는 말
- 일본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
- 낯설고 어려운 한자어(저빈도 한자어)
- 가접수, 가처분, 공수표
- 외국어
- 변형된 우리말(신조어)
- 차별적 표현
날짜 표기
2020.9.1.~9.5 (O)
2020.9.1. ~2020.9.5. (O)
2020.9.1.-9 5. (O)
2020.9.1.~2020.9.5. (O)
'20.9.1.
'20.09.01.
일요일은 공휴일에 포함
익일 (X)
다음날(O)
물결 앞 뒤는 붙여쓴다.
시간표기
12:01
24시간제
오전, 오후, AM, PM 사용하지 않음.
기안문
기안문 제목은 20글자 이내
명령(X), 협조 요청(O)
원칙 기안문은 1. 2. 3. 문단 띄어쓰기 하지 않음
하지만 특정 내용이 중요해서 강조하고 싶을 땐 문단 띄어쓰기 가능
그러나 하위 항목은 띄어쓰지 않음
표 크기는 페이지에 딱 맞게
붙임도 원칙상 붙여써야 하지만, 시각적 효과를 위해 한두줄 정도 띄어쓰는건 기안자의 선택
수신vv국립국어원장(보좌기관) : 수신인이 한 명일 경우
수신vv국립국어원장(참조) : 수신인이 여러 명일 경우
수신vv홍길동 귀하(우. 1234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 수신인이 민원인일 경우
제목vv2020년 상반기(4월~5월) 직장인 달빛 강좌 홍보 협조
20자 이내, 명사형이 좋지만 조사 사용
관련 근거 표기 방법
대외 공문: 기관명v문서 번호(YYYY.MM.DD.) v「문서 제목」
대내 공문: 문서 번호(YYYY.MM.DD.) v「문서 제목」
관련v근거: 국립국어원 2020-1234(2020.10.9.) 「국어 순화 방침」과 관련한 내용입니다./문서입니다/사항입니다./보고입니다.
관련 근거 두 개 이상일 경우
1. 관련v근거
vv가. 국립국어원 2020-1234(2020.10.9.)
vv나. 국립국어원 2020-4321(2020.10.10.)
및 사용 X 와, 과 사용
들여쓰기 맞추기
본문 작성
육하원칙 순서: 무엇을, (왜),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가. 교육명: 2020 상반기 OO 교육연수 --> 무엇
나. 대상: 교육 행정 실무(각 학교 2명) --> 누가
다. 일자: 2020.10.6.(화) --> 언제
라. 장소: 교육청 연수원 --> 어디서
마. 내용 --> 어떻게, 구체적 상황
대상표기
원칙 : 우선순위가 있으면 우선순위 적용
없으면 가나다 순으로
불평등, 옹호하는 내용 X
주최와 주관
주체와 주관이 동일 - 주최/주관: 국립국어원, 주체중간점주관: 국립국어원
주최와 주관이 다를 떄
주최: 국립국어원
주관: 이화여대 국립문화원
공동일 때
주최: 국립국어원, 이화여대 공동
붙임이 하나 있으면
붙임vv사업계획서 1부.vv끝.
붙임이 여러개 있으면
붙임vv1. 사업계획서 1부
vvvvv2. 사업 관련 서류 1부.vv끝.
본문이 표로 끝나는 경우
표 밑에
vv끝
표에 빈칸이 있는 경우
이하 빈칸 표시 후 끝 표시 하지 않음.
응시번호 성명
1 홍길동
2 신은재
이하 빈칸
응시번호 | 성명 |
---|---|
1 | 홍길동 |
2 | 신은재 |
이하 빈칸 |
번호 순서
1. 가. 1) 가) (1) (가) 동그라미1 동그라미가
보고서 작성 시 네모 동그라미 - 중간점
들여쓰기
문장으로 시작할 때는 들여쓰지 않음.
금액표기
금113,560원(금십일만삼천오백육십원) 띄어쓰기 사용하지 않음
일금 원정(X)
자주 틀리는 맞춤법
수단, 방법: 로써
자격: 로서
사람, 살아있는 생명체: 에게
건물,지역: 에
참조
행정안전부 누리집 행정업무운영편람